본문 바로가기
재테크

(뉴스읽기) 이주열 "0.25%P 올려도 완화적 수준"..추가 인상 강력 시사

by Bookwork 2021. 8. 26.

막 내리는 초저금리 시대
'돈줄 죄기' 시작됐다
한은, 15개월 만에 기준금리 연 0.5%→ 0.75% 인상
가계빚·집값·물가 억제에 초점
이주열 "금융불균형 완화 첫발"
4분기 추가 인상 가능성 시사
중기·소상공인·빚투족 직격탄

한국은행은 26일 기준금리를 연 0.5%에서 연 0.75%로 올렸다. 이주열 한은 총재가 이날 금융통화위원회 본회의에서 의사봉을 두드리고 있다. /한은 제공


한국은행이 26일 연 0.5%인 기준금리를 연 0.75%로 0.25%포인트 인상했다. 지난해 5월 기준금리를 내린 이후 15개월 만이다. 한은은 기준금리를 더 높일 것이라고 예고했다. 이로써 코로나19 대응을 위해 시도됐던 사상 초유의 초저금리 시대가 막을 내리게 됐다. 

한은은 코로나19 델타 변이 바이러스가 퍼지고 있지만 경기 회복세가 꺾이지 않을 것이란 예측에 따라 기준금리를 높였다고 설명했다. 한은은 델타 변이의 여파를 검토했지만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 4.0%를 그대로 유지했다. 소비자물가 상승률 전망치는 기존 1.8%에서 2.1%로 상향 조정했다.

한은은 오히려 가계부채가 1800조원을 넘어서고 집값 상승세가 멈추지 않고 있는 상황에 주목했다. 이주열 한은 총재는 “기준금리 인상이 가계부채 증가세와 주택가격 오름세를 꺾는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은은 추가 금리 인상을 통해 시중에 풀린 돈을 회수할 계획임을 내비쳤다. 이 총재는 “이번 인상에도 기준금리 수준은 여전히 완화적”이라며 “금융 불균형 완화를 위해 (금리 인상의) 첫발을 뗀 것”이라고 밝혔다. 시장에선 한은이 내년 1분기까지 연 1~1.25% 수준으로 기준금리를 더 높일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 있다.

이번 금리 인상으로 인해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이 직격탄을 맞을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중소기업중앙회는 이날 논평에서 “코로나19 영향으로 중소기업의 매출이 회복되지 않은 상태에서 금리가 인상돼 중소기업이 유동성 위기로 쓰러지고 은행도 동반 부실화할 수 있다”며 유감을 표시했다. 금리 인상으로 인해 가계의 이자 부담은 연간 3조원 이상 늘어날 것으로 분석됐다. 만약 연내 한 차례 더 오르면 연간 추가 부담은 6조원을 웃돈다.

금리 인상에도 이날 금융·외환시장에 큰 충격은 없었다. 코스피지수는 3128.53으로 18.28포인트(0.58%) 내리는 데 그쳤다. 원·달러 환율은 오히려 2원40전 올라 1170원50전에 마감했다. 3년 만기 국고채 금리는 연 1.398%로 0.037%포인트 내렸다.

 

https://news.v.daum.net/v/20210826174505663

 

이주열 "0.25%P 올려도 완화적 수준"..추가 인상 강력 시사

한국은행이 26일 연 0.5%인 기준금리를 연 0.75%로 0.25%포인트 인상했다. 지난해 5월 기준금리를 내린 이후 15개월 만이다. 한은은 기준금리를 더 높일 것이라고 예고했다. 이로써 코로나19 대응을 위

news.v.daum.net

 

 


한국은행의 기준금리가 오르면 당연히 시중은행의 금리도 오른다.

0.25% 올랐다고 0.25% 오를까?

그렇지 않다. 시중은행에서는 1%정도 올릴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 금리가 3.5%라면 4.5%가 될 것이다.

 

대출이자 계산기를 사용하여 계산을 해보자.

대출이자가 3.5%일 때 월 160만 원 정도 되지만

4.5%로 인상되면 월 180만원 정도의 대출이자를 내야 한다.

 

 

마이너스 통장도 4% 정도 인상되었고

보험사의 주택담보대출도 금리를 인상한다고 한다.

그리고 8월의 금리인상이 끝이 아니라는 것이다.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의 임기 내 추가 인상이 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

 

미국의 테이퍼링(자산매입 축소, 양적완화 규모의 점진적 축소)가 임박했고

최근 수년 동안 우리나라 주택가격이 많이 올랐다.

2~3배 이상 오른 아파트가 많다.

 

과거에는 건당 개인 대출의 전체 금액이 적었지만 이제는 대출의 전체 금액도 늘어났다.

또한 이전에는 대출이자만 갚아서 부담이 좀 덜했지만

이제는 원금과 이자를 함께 갚는 원리금 균등상환 방식이다.

 

과도하게 빚을 내면 아주 위험할 것이다.

앞으로 금리가 더 인상될 확률도 높다.

소나기는 피해 가는 것이 좋다.

추후 조정기가 오면 그때 부동산은 구입하는 것은 어떨까?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