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AI 도입, 다들 고민하시죠?
하지만 "AI 전환은 기술이 아니라 일하는 방식의 전환"이라는 말, 들어보셨나요?
국내 AI 기반 업무 혁신의 선두주자, 원지랩스에서는
PM, 디자이너, 개발자 모두가 AI를 적극 활용하며
하루에도 수십 개의 프로젝트를 빠르게 실행하고 있습니다.
그 중심에는 리더 곽대표와 실제 업무에 녹아든 AI 활용 문화가 있죠.
🔍 1. AI는 도구가 아니라 동료입니다
원지랩스에서는 단순히 GPT에 묻고 답하는 수준을 넘어서
- GPT는 딥리서치 & 기획 동료
- Cursor는 코드 리뷰어
- Devin은 실제 개발자처럼 슬랙에서 일하는 동료
로써 역할이 분명히 정해져 있습니다.
심지어 대표는 PM에게 “나도 GPT랑 일하니까 3시간 뒤에 결과 비교해보자”고 말할 정도로
AI와 경쟁시키며 실력을 키우는 문화를 만들어가고 있죠.
🧭 2. AI 전환, HR에서 시작하라
많은 기업이 AI를 도입하면서 AI 박사나 엔지니어를 채용하지만,
진짜 중요한 건 직무기술서(Job Description, JD)과 온보딩 시스템입니다.
“우리가 어떤 역할을 위해 사람을 뽑는가?”
→ 이 질문이 곧 AI에게도 업무를 지시하는 방식이 됩니다.
따라서 신규 입사자처럼 AI에게도 명확하게 일의 범위를 제시하고
즉시 투입 가능한 구조를 만들면, 누구보다 빠르게 AI 도입에 성공할 수 있습니다.
💡 3. 조직문화가 곧 AI의 생산성이다
원지랩스의 핵심 문화는 “자랑하듯 AI를 쓰는 문화”입니다.
- 새로운 툴이 나오면 먼저 써본 사람은 슬랙에 공유
- 구성원끼리 “너도 이거 해봐” “이 프롬프트 써봤어?” 하며 서로 배움
- 리더는 구성원이 AI를 더 잘 쓰도록 판을 깔아줌
이런 분위기가 있기에 팀원들은 AI를 두려워하지 않고
오히려 더 많이, 더 빠르게, 더 창의적으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 4. 리더의 역할은 ‘피드백을 빠르게, 그리고 자주’
AI를 잘 활용하려면 피드백 사이클을 짧게 가져가는 것이 핵심입니다.
예전엔 4시간 걸리던 리서치도,
지금은 AI로 10분 만에 결과를 얻을 수 있죠.
그렇다면 예전처럼 “일주일 뒤에 리뷰”가 아니라
“30분 뒤 다시 보자”는 식으로 피드백을 주고받는 것이 효율적입니다.
🧠 5. 미래는 'AI 동료'와 함께 하는 업무
원지랩스에서는 이제 실제로
- 슬랙에 Devin이라는 AI 개발자
- AI 마케터, AI 디자이너까지 확장 가능한 AI캔(AI-Ken) 프로젝트
를 실험 중입니다.
미래에는 구글 계정, 피그마 계정까지 가진 AI가
이메일도 보내고 미팅도 참여하는 시대가 열릴 것입니다.
📌 마무리
AI 시대, 조직은 어떻게 바뀌어야 할까요?
기술이 아닌, 문화와 방식이 바뀌어야 합니다.
그리고 그 출발은 “리더부터 AI를 잘 써보는 것”,
그리고 구성원들과 함께 ‘덕질’하듯 배우는 문화에서 시작됩니다.
출처: https://www.youtube.com/watch?v=_j7NjmCbrDQ
'생성형 AI' 카테고리의 다른 글
[AI 리서치 혁명] ChatGPT 딥 리서치(Deep Research) 기능, 보고서와 시장조사까지 완벽 자동화! (2) | 2025.05.05 |
---|---|
개발자 8명이 800명보다 더 일하는 회사 - 원지랩스의 AI 조직문화 (0) | 2025.05.04 |
[생성형 AI 시대] 우리는 어떤 조직 문화를 지향해야 할까? (4) | 2025.05.02 |
🎧 영어 몰라도 된다! 유튜브 영어 영상 자동 한국어 음성 요약하는 방법 (무료 & 자동화까지) (2) | 2025.05.01 |
ChatGPT 라이브러리 기능 완전 정복: 이미지 관리부터 편집, 삭제까지! (0) | 2025.04.29 |
댓글